카테고리 없음

주버트증후군 진단 및 치료 방법 완벽 가이드

ayoni00 2025. 4. 24. 10:00
반응형

주버트 증후군은 희귀한 유전성 신경 질환으로, 뇌의 발달 이상으로 인해 운동 장애와 발달 지연을 유발합니다. 조기 진단과 꾸준한 관리가 삶의 질 향상에 중요합니다.

1. 주버트증후군 원인 및 증상

주버트 증후군(Joubert Syndrome)은 신생아기와 영아기에서 주로 두드러지는 근 긴장 저하, 지적장애 및 발달지연이 특징적으로 나타납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신경학적 이상과 구조적 기형이 동반됩니다.

모든 환자에서 근 긴장 저하가 관찰되며 특히 신생아기와 영아기에서 현저합니다. 이는 소뇌 충부의 형성 부전과 함께 꼭지핵(fastigial nucleus) 및 삽입핵(interposed nucleus)의 장애로 인한 것입니다. 운동 실조 역시 동반되며 걷기 시작하는 시점은 평균 4세 전후로 지연됩니다.

전반적인 발달 지연이 흔하며, 운동 기능이 특히 심하게 영향을 받습니다. 언어, 인지, 적응 행동에서도 지연이 나타나며 일부 환자에서는 공격성, 자폐 성향, 행동과다 등이 보고됩니다.

신생아기의 불규칙한 호흡은 약 44~71%에서 발생하며, 발작적인 과호흡과 무호흡이 반복됩니다. 호흡은 일반적으로 생후 1개월 이내에 호전되지만 일부는 수개월에서 수년간 지속되기도 합니다.

환자의 70~100%에서 비정상적인 안구 운동이 동반되며, 시선 이동성 안진, 사시, 수직 주시 마비 등이 흔히 관찰됩니다. 안구 운동 실조증(oculomotor apraxia)도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얼굴은 넓고 돌출된 이마, 높은 눈썹, 넓은 양미간, 낮은 콧등과 함께 혀를 내미는 모습이 특징적입니다.

선천성 망막 이형성, 맥락망막 결손(coloboma), 낭종성 신질환, 간섬유증, 다지증 등 다양한 기형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신기능 장애는 약 25%에서 관찰되며, 드물게 선천성 심장 기형도 보고됩니다.

이러한 임상양상은 COACH 증후군 등 유사 증후군과도 겹칠 수 있으며, MRI 검사상 대구치 모양(Molar Tooth Sign)이 특징적으로 나타납니다.

 

2. 주버트증후군 원인 및 증상

 

주버트 증후군(Joubert Syndrome)은 다양한 유전자와 관련이 있으며, 현재까지 22종 이상의 유전자가 해당 증후군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NPHP1, CEP290, AHI1, TMEM67을 포함한 여러 유전자 이상이 주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러한 유전자 돌연변이가 발견되지 않는 환자도 많습니다.

- NPHP1 유전자

NPHP1 결실이 있는 경우, 대부분의 환자에서 신기능 장애가 보고되었습니다. 이 유전자의 결함은 주버트 증후군의 주요한 원인 중 하나로, 신장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AHI1 유전자

AHI1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는 경우, 망막이영양증이 보고되었습니다. 이 유전자의 이상은 주로 눈의 문제와 관련이 있으며, 시력 손실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CEP290 유전자

CEP290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는 경우, 상당수의 환자에서 소뇌벌레 저형성과 망막이영양증이 동반됩니다. 일부 환자에서는 선천성 시각상실 및 신기능 장애도 보고되었습니다.

- TMEM67 유전자

TMEM67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는 환자들 모두에서 소뇌벌레 저형성이 관찰되었습니다. 이 유전자와 주버트 증후군의 유전형과 표현형 사이에는 어느 정도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주버트 증후군의 다양한 유전자 이상은 각기 다른 임상적 특징을 나타낼 수 있으며, 그 유전자와 표현형 간의 관계는 여전히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유전자 검사와 정확한 진단은 환자에게 맞는 치료 및 관리 계획을 세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 주버트 증후군의 진단 및 치료방법

주버트 증후군(Joubert Syndrome)의 진단은 소뇌 충부의 무형성 또는 저형성과 함께, 근긴장도 저하, 발달 지연, 호흡 이상, 안구 운동 이상 등의 임상상이 3가지 이상 나타날 경우 이루어집니다.

대구치 모양 징후는 뇌 MRI에서 확인되며, 뇌간 협부의 깊은 골, 상소 뇌각의 신장, 소뇌 충부 저형성 등이 나타납니다.

  • 영아기 시기의 근긴장 저하 및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운동실조 발생
  • 발달 지연 및 정신 지체
  • 불규칙한 호흡 형태 (과호흡/무호흡 반복)
  • 비정상적인 안구 운동 (안구 운동 실조증)

혈액검사를 통한 신장 및 간 기능 평가와 복부 초음파를 통해 간 섬유화 여부를 확인하며, 필요시 MRI 등의 영상의학적 검사를 시행합니다. 생검을 통해 확진할 수 있습니다.

구개열, 소엽혀, 선천성 심장질환, 좌우바뀜증, 히르슈슈프룽병(Hirschsprung’s disease) 등의 동반 기형 여부도 확인해야 합니다.

현재 22가지 아형(JBTS 1-22)이 보고되었으며, 분자유전학 검사를 통해 확진이 가능합니다. 보인자 검사 및 산전 진단도 가능합니다.

 

 

근본적인 치료 방법은 없다. 영아 자극 프로그램, 운동 치료, 작업 치료 그리고 언어 치료 등과 같은 보조 요법을 시행한다. 동반된 증상이나 기형에 대한 교정과 적절한 처치가 필요하다. 일부 성염색체 유전되는 드문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에서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므로 이에 따른 유전상담이 필요하다.

 신생아기의 환자 관리: 신생아기에는 근 긴장도 저하와 불규칙한 호흡 운동이 주 증상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신생아기에 호흡곤란을 나타낼 수 있는 다른 질환과의 감별진단이 필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버트 증후군의 경우  기계 환기 치료나 기관절개 수술을 요할 만큼 호흡 곤란이 심한 경우는 거의 없다.

 

반응형